728x90
반응형
반도체 회사 종류 총정리 - 팹리스, 파운드리, IDM, OSAT
반도체 회사라고 다 똑같은 회사가 아니다. 어떤 회사는 설계만 하고, 어떤 회사는 생산만 하고, 어떤 회사는 다 해먹기도 한다. 그래서 오늘은 반도체 업계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회사 종류 4가지를 정리해 봤다.
728x90
1. 팹리스 (Fabless)
- 하는 일: 반도체 설계만 한다. 생산 공장이 없다.
- 특징: 머리 좋은 애들이 설계만 해서 파운드리한테 맡긴다.
- 대표 기업: 퀄컴, 엔비디아, AMD, 애플
요즘 잘 나가는 IT기업들 대부분이 팹리스이다. 직접 공장 짓는 건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설계만 하고, 생산은 외주를 맡기는 거다. 팹리스라는 말 자체가 팹 (공장)이 없다는 뜻이다.
2. 파운드리 (Foundry)
- 하는 일: 반도체 생산만 한다. 설계는 안 한다.
- 특징: 팹리스 회사들이 설계한 반도체를 실제로 만들어준다.
- 대표 기업: TSMC, 삼성전자(파운드리 부문), 글로벌파운드리
공장을 운영하는 회사이다. 공정 기술력이 제일 중요하고, 설비 투자비가 진짜 어마무시하다. 특히 TSMC는 전 세계 팹리스들이 줄 서서 맡길 정도로 탑급이다. 이에 반해 삼성전자 파운드리는 아직 빛을 내지 못하고 있다.
3. 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 하는 일: 설계부터 생산까지 다 한다.
- 특징: 공장도 있고 설계팀도 있다. 내부에서 끝내버린다고 할 수 있다.
- 대표 기업: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능력 되니까 다 해 먹는 회사이다. 대기업들이 많고, 메모리 반도체 같은 거도 여기에 포함된다. 투자를 많이 해야 하지만 수익도 크다.
4. OSAT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 하는 일: 반도체 조립(Packaging) & 검사(Test)
- 특징: 제조된 칩을 실제로 제품으로 만들기 위한 마지막 과정 담당
- 대표 기업: Amkor, ASE, 하나마이크론
최종 마무리 담당. 완성된 반도체를 포장하고 검사해서 출하 직전 상태로 만드는 회사들이다.
정리하자면
구분 | 하는 일 | 대표 기업 |
---|---|---|
팹리스 | 설계만 함 | 퀄컴, 엔비디아, 애플 |
파운드리 | 생산만 함 | TSMC, 삼성전자 |
IDM | 설계 + 생산 |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OSAT | 조립 + 검사 | Amkor, 하나마이크론 |
이렇게 반도체 회사들은 역할이 다 다르니까, 업계 돌아가는 거 좀 더 재밌게 보일 수도 있다. 반도체 취업 준비하는 사람들한테도 이거 구분하는 거 꽤 중요하니까 참고하길 바란다.
728x90
반응형
'알아두면 좋은 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금리 뜻, 왜 오르고 내리는걸까? 금리영향? (20) | 2025.04.17 |
---|---|
국장(국내주식)과 미장(미국주식) 수익률과 장단점 분석 (14) | 2025.04.14 |
반도체는 어떻게 만들까? 반도체 8대 공정 한 눈에 보기 (2) | 2025.04.12 |
주식시장 급변동 시 발동되는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총정리 (2) | 2025.04.11 |
트럼프의 관세 인상 90일 유예로 나스닥 폭등.. 기대되는 오늘 국장 (2) | 2025.04.10 |
채권 투자, 예금보다 똑똑한 선택일까? 개념부터 투자까지 (2) | 2025.04.09 |
투자, 절세 다 되는 ISA 계좌 (개설부터 해지까지, 종목/증권사 추천) (6)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