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경제

[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금리 뜻, 왜 오르고 내리는걸까? 금리영향?

by seacloud 2025. 4. 17.
728x90
반응형

금리, 도대체 무엇이길래 중요할까?

뉴스 볼 때마다 “금리 인상”, “기준금리 동결” 같은 말이 튀어나오는데, 도대체 금리가 뭔데 나라가 흔들리는 걸까?
이번 글에서는 금리의 정의부터 시작해서, 기준금리, 시중금리 차이,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왜 올리고 왜 내리는지 등등 금리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싹 정리해 보았다.

오늘(2025년 4월 17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하였다. 이 참에 금리에 대한 글을 쓰게 되었다.

금리란?

금리란-무엇인가
금리란 무엇일까?

금리는 ‘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이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1,000만 원을 빌렸고, 1년 뒤에 1,050만 원을 갚는다면, 이자 50만 원이 붙은 거고 금리 5%인 것이다. 즉, 금리는 돈의 사용료라고 보면 된다.


기준금리 vs 시중금리

  • 기준금리: 한국은행(=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금리. 은행들이 서로 돈을 빌리고 빌려줄 때 참고하는 금리.
  • 시중금리: 우리가 실제로 겪는 예·적금 금리, 대출 금리 같은 것들.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아 움직임.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3.5%로 오르면, 시중은행들도 예금 이자 조금 올려주고 대출 이자를 올려버린다. 결국 기준금리는 모든 금리의 기준점이란 소리다.


금리는 왜 중요할까?

금리는 경제 전체의 ‘유동성 스위치’다. 돈을 싸게 빌릴 수 있으면 사람들의 지이 열리고, 기업도 투자하니까 경기가 살아난다. 근데 반대로 너무 풀어버리면 물가가 미쳐 날뛰게 된다.

금리 낮을 때 금리 높을 때
대출 이자 싸짐 → 돈 빌리기 쉬움 대출 이자 비쌈 → 대출 부담 커짐
소비 & 투자 ↑ 소비 & 투자 ↓
기업 투자 활발 기업 투자 위축
부동산·주식 상승세 자산시장 조정 or 하락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위험) 물가 안정(디플레이션 우려 가능)


금리를 왜 올리고, 왜 내리는가?

금리를 올리는 이유 (긴축 정책)

  •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물가가 미쳐 날뛰니까, 금리를 올려서 돈줄을 조인다.
  • 자산 거품 방지: 부동산, 코인, 주식 같은 게 과열되면 금리 올려서 과열을 식히려 한다.
  • 외국 자본 유치: 미국 금리 오르면 외국인 자본 빠져나가니까, 우리도 금리를 따라 올려야 자본 유출 막을 수 있다.

금리를 내리는 이유 (완화 정책)

  • 경기 부양: 소비·투자를 늘려서 기업 돌리고 일자리 늘리려고 금리를 내린다.
  • 디플레이션 방지: 경제가 너무 쪼그라들면 물가까지 떨어지는데, 이러면 소비 위축돼서 경기 더 망한다. 그래서 금리를 내려서 방지한다.
  • 실업률 감소 유도: 기업들이 대출받아서 투자하게 만들고, 고용 늘어나게 유도한다.

물가와 금리의 관계

물가와-금리의-관계
물가와 금리의 관계

물가는 돈의 가치를 반영하고, 금리는 돈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도구이다.
금리 낮추면 돈이 많이 풀려서 물가 오르고, 금리 올리면 돈이 덜 풀려서 물가가 안정된다.

예시로, 2020년 코로나 이후 전 세계가 금리를 낮췄더니 사람들 소비폭발 + 공급망이 꼬여서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터졌다. 그래서 2022~2023년에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미친 듯이 올린 것이다.

2025.03.25 - [알아두면 좋은 정보/경제]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화폐 가치는 왜 떨어질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화폐 가치는 왜 떨어질까?

📌 인플레이션이란?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뜻한다. 쉽게 말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점점 줄어든다는 뜻이다.📌

outlogin.tistory.com


그럼 내 인생엔 뭐가 중요할까?

금리는 내 지갑이랑 직결된 문제다.

  • 대출 있는 사람: 금리 오르면 이자 더 내게 된다. 갚을 돈이 많아진다. 특히 변동금리 쓰는 사람은 더 민감하다.
  • 무주택자: 전세대출 이자 오름 → 월세 전환 → 주거비 상승
  • 투자자: 금리 높아지면 주식시장 하락, 채권은 반대로 매력 ↑
  • 예금자: 금리 오르면 예금·적금 이자도 올라서 돈 굴리기 유리

요약정리

  • 금리 = 돈 빌리는 데 붙는 이자율
  • 기준금리 = 모든 금리의 기준점
  • 금리 ↑ = 소비↓, 투자↓, 물가↓
  • 금리 ↓ = 소비↑, 투자↑, 물가↑
  • 경제가 과열되면 올리고, 침체되면 내림

금리 하나만 이해해도 뉴스 보는 눈이 달라지고, 재테크 방향이 달라진다.

그러니까 그냥 넘기지 말고, 최소한 이 정도는 알고 있어야 인생에 손해 안 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