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시리즈/오늘의 꿀팁

집 방향별 현실 장단점 총정리 (북향, 서향, 동향, 남향)

by seacloud 2025. 4. 16.
728x90
반응형

집 방향에 따른 장단점 총정리 – 진짜 현실적인 꿀팁 모음

집-방향-그림
집 방향에 따른 장단점


집 구할 때 제일 많이 묻는 질문이 바로 “이 집 방향 어디예요?”이다. 
근데 이게 단순한 취향 문제가 아니다. 방향 하나 차이로 난방비, 조명, 심지어 곰팡이까지 즉 삶의 질이 달라진다.
그래서 남향, 동향, 서향, 북향의 장단점을 전부 현실적으로 정리해봤다.

■ 방향별 장단점 한눈에 보기

방향 장점 단점
남향 - 햇빛 하루종일 들어옴 (골구루)
- 겨울에 따뜻함
- 조명 잘 안 켜도 밝음
- 인기 많아서 집값 잘 안 떨어짐
- 여름엔 덥다
- 커튼 필수
- 집값 비쌈
동향 - 아침 햇살 잘 들어옴
- 오전엔 밝고 기분 좋음
- 여름에 덜 더움
- 오후부터 어두움
- 겨울엔 금방 식음
- 해 뜨기 전에 일어나야 햇빛 느낌
서향 - 퇴근하고도 해 들어옴
- 겨울엔 저녁에 따뜻함
- 식물 키우기 좋음
- 여름에 퇴근하면 집이 찜질방임
- 가구 변색 위험 있음 (직사광선)
- 에어컨 없으면 지옥
북향 - 여름에 시원함
- 온도 변화 적음
- 에어컨 덜 돌려도 됨
- 해가 거의 안 들어옴
- 겨울엔 보일러 무조건 돌려야 함
- 습기 많고 곰팡이 생기기 쉬움



■ 더 현실적으로 뜯어보기


남향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기 방향이다. 겨울엔 따뜻하고, 해도 하루 종일 잘 듦. 조명도 덜 켜고 난방비도 절약된다.
단점은 여름엔 진짜 덥고 (사람마다 다름) 집값도 비싸다. 

동향
아침 햇살로 기상 가능하다. 출근 준비할 땐 분위기 좋다.
근데 오후부터 어둡다. 집에 오후~밤에 주로 있는 사람한텐 비추한다.

서향
퇴근하고도 해가 있어서 좋은데, 여름엔 진짜 지옥이다. 가구나 벽지 변색도 걱정이다.
식물 좋아하거나 저녁 햇살 원하는 사람한텐 괜찮다.

나는 실제로 현재 서향 집에서 살고 있다. 오후부터 해질 때까지 햇빛이 잘 들어와서 따뜻하다. 그리고 해가 질 때 노을이 이뻐서 질리지 않는다. 다만 직사광선이 좀 센 편이라 다가올 여름이 걱정되긴 한다.

북향
해 안 들어오고 항상 좀 어두운 분위기다. 습기 많고 곰팡이도 잘 생긴다.
여름엔 시원하고 전기세 덜 나올 수 있다. 싸게 나오는 집 보면 북향이 많다.

지금 살고 있는 집 이전에 북향 집에서 살아본 적이 있다. 진짜 해가 하나도 들어오지 않고 욕실에 곰팡이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빨래도 잘 안 마른다. 하지만 북향이라 탁 트여있어 뷰는 좋고 여름엔 시원하다.



■ 방향 고를 때 꿀팁

  • 창문 크기랑 배치가 방향만큼 중요하다. 
  • 건물 앞에 뭐 있는지 체크 (가림 여부) 아무리 남향이어도 앞에 건물이 있으면 의미가 없다.
  • 난방 구조 제대로 봐야 한다.
  • 본인 라이프스타일이 낮인지 밤인지 고려하면 좋다.
  • 방향보다 층수, 뷰도 같이 체크하는 것이 좋다.

 


■ 결론

무조건 남향이 짱이라는 말은 옛날 이야기다. 요즘은 사람 스타일 따라 방향도 다르게 선택해야 한다.
아침형 인간은 동향, 야근 많은 직장인은 서향, 가성비 따지면 북향도 나쁘지 않다.
직접 발품 팔아서 시간대별로 해 들어오는 각도 꼭 확인하고 결정하는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